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은 가축 농가와 축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전염병으로 최근 전남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구제역은 예방접종이 필수적인 질병인데요. 구제역이 무엇인지, 구제역 예방접종의 중요성과 최신 일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구제역이란?
구제역은 소, 돼지, 양, 염소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우제류 동물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 구제역은 전파 속도가 매우 빠르고, 감염된 동물에게는 발열, 수포, 침 흘림, 발굽의 물집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구제역은 사람에게 직접 감염되지는 않지만, 사람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 있어 철저한 방역이 중요합니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농가(축산업)에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므로 철저한 예방과 방역이 필요합니다.
구제역 주요 특징
- 전염 경로: 직접 접촉, 공기, 오염된 물건(차량, 사료 등)을 통해 전파됨
- 증상: 고열, 침 흘림, 발굽 궤양, 식욕 저하, 수포 등
- 관리: 세계동물보건기구(OIE) 지정 질병으로, 발생 시 신고 의무가 있음
구제역 예방접종의 중요성
구제역은 따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접종이 최선의 방어 수단입니다. 예방접종을 통해 가축의 면역력을 높여 감염 위험을 줄이고, 설령 감염되더라도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구제역 예방접종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발생 빈도와 바이러스의 확산을 억제합니다.
예방접종의 효과
- 감염 확률 감소: 정기적이고 올바른 접종 시 구제역 감염률이 현저히 감소
- 경제적 손실 방지: 구제역 발생 시 처분과 방역 비용을 줄일 수 있음
- 지역사회 보호: 전파를 차단해 인근 농가로의 확산 방지
2025년 상반기 구제역 일제접종 일정
- 기간: 2025년 3월 17일(월) ~ 3월 31일(월)
- 기존 4월에 일제접종 예정이였으나 일정 앞당겨짐
- 발생 상황에 빠른 접종 권장 3월 22일까지 일제접종 요망
- 대상: 전국 모든 우제류 가축(소, 돼지, 염소 등)
- 소·염소 농가: 공수의(공공 수의사) 접종 지원
- 돼지 농가: 지역 축협(예: 구미칠곡축협)에서 백신 배부 및 접종
정확한 일정은 지역 축협이나 농림축산식품부에서 확인가능 농림축산식품부
구제역 백신 접종 시 주의사항
- 백신 보관: 냉장 상태(2~8°C)에서 보관하고, 직사광선을 피해 보관하세요.
- 접종 시기 준수: 늦어지면 면역 형성이 약화될 수 있으니 일정을 엄수하세요.
- 혈청형 확인: 지역별 발생 혈청형에 맞는 백신 사용이 중요합니다(예: O형, A형).
- 이상 반응 관찰: 접종 후 가축의 상태를 면밀하게 체크하세요.
구제역 관련 FAQ
Q1.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면 100% 예방되나요?
아니요. 100%는 아니지만 감염 확률을 크게 낮춥니다. 변종 바이러스나 접종 시기 미준수 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Q2. 구제역에 걸린 고기를 먹어도 되나요?
구제역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으며, 열을 가하면 바이러스가 사멸되기 때문에 구제역에 걸린 고기여도 익혀서 먹으면 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방역 차원에서 살처분이 행해지므로 시중에서 구제역 감염 고기가 유통되는 일은 없습니다.
Q3. 접종 비용은 누가 부담하나요?
국가와 지자체에서 지원하며, 대부분 무료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일부 경우 농가가 비용을 분담할 수 있으니 지역 정책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구제역 예방을 위한 추가 방역 수칙
출입 차량 및 방문객의 철저한 소독을 진행하고 농장 내부 위생 관리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외부인 출입 제한하고 방역복 착용해 감염을 줄여야 합니다. 또한 감염 의심 동물 발견 시 즉시 신고(가축방역기관: 1588-9060 / 1588-4060) 하고 주기적인 백신 접종과 방역 교육 참여가 필요합니다. 신속한 대응만이 추가 전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구제역은 축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전염병이므로, 사전 예방이 아주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예방접종과 철저한 방역수칙을 준수해 구제역을 예방하고, 건강한 가축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정부의 백신 접종 일정과 방역 지침을 잘 따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구제역 예방법입니다.
참고뉴스
전남, 구제역 백신 접종률 92%…22일까지 모든 시군 완료
백신 접종·소독으로 집단 방역 형성 구제역 백신 긴급 접종(고령=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전남 지역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한우 농가에 긴장감이 확산하고 있는 19일 경북 고령군 한
im.newspic.kr
계속되는 구제역 확산에 농가 ‘시름’···전남서만 10곳
▲ 지난 5일 충북 보은군 의 한 젖소 농장에서 올들어 처음으로 구제역이 발생한 가운데 6일 오후 대전 서구 원정동의 축산농가에서 대전축협 방역 관계자들이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im.newspic.kr
양산시, 구제역 확산 방지 긴급 백신접종
양산시청 전경./양산시 제공 양산시는 전남 영암군에서 발생한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관내 소와 염소를 대상으로 긴급 일제 접종을 실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일제 접종은 4월 1일
im.newspic.kr